수영 부상과 예방

💥순간 폭발력! 수영할 때 힘이 "팍!" 나오는 과학적 이유 8가지

swimtime 2025. 5. 20. 18:07

수영할 때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낼 수 있는 이유? 
단순히 오래했다고 해서 힘이 있다? NO!!!

지금부터는
수영할 때 우리가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낼 수 있는
생리학적, 생체역학적 이유 8가지를 흥미롭게 풀어봅니다.
수영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몸 안의 과학'이죠!


1. ⚡ 근육 속 폭탄, ATP-PC 시스템

수영에서 단거리 전력질주나 스타트, 턴 직후 돌핀킥 등은 10초 이내의 짧은 시간이죠.
이때 우리 몸은 ‘ATP-PC 시스템’을 가동합니다.
근육에 저장된 **인산화크레아틴(PCr)**이 바로 에너지원으로 전환되며 강한 폭발력을 만들어내는 구조입니다.

🧪 전문 용어 한 줄 정리:
ATP-PC 시스템은 무산소 조건에서 5~10초간 최대 출력을 내게 해주는 체내 에너지 체계입니다.


2. 💪 힘의 근원, 속근(fast-twitch fibers)

우리 근육에는 ‘느린 근육(지근)’과 ‘빠른 근육(속근)’이 있습니다.
속근은 순간적으로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된 근육으로,
점프, 킥, 팔 휘두르기 등 빠른 동작에 적합하죠.

수영에서는 접영 킥, 크롤의 마지막 푸시, 턴 직후 다리 차기 등에 속근이 강하게 동원됩니다.


3. 🧠 뇌가 내리는 "올인!" 명령 – 근신경계 동원

힘을 내는 건 근육만이 아닙니다. 뇌가 얼마나 많은 근육을 동시에 활성화시키느냐가 핵심이죠.
이걸 **운동 단위 동원(synchronization)**이라 합니다.
고급 선수일수록 이 신경계 조절 능력이 발달되어 있어 순간적인 폭발력이 훨씬 강하죠.


4. 🌊 물 저항을 이기는 유선형 자세의 기술

물은 공기보다 800배 더 무겁습니다.
하지만 스타트나 턴 직후에 ‘유선형 자세’를 유지하면, 물의 저항을 잠시나마 무력화할 수 있죠.
이 순간에 집중적으로 힘을 내면, 최소한의 저항으로 최대한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5. 🧬 무산소성 해당과정으로 ‘순간 연료’ 공급

순간적으로 힘을 낼 땐 **산소를 쓰지 않는 방식(무산소)**으로
포도당을 에너지로 바꾸는 **해당과정(Glycolysis)**이 작동합니다.
이 방식은 빠르지만, 젖산이 많이 생성되어 피로가 빨리 오죠.
그래서 훈련이 중요합니다. 젖산을 견디는 능력도 훈련의 결과니까요.


6. 🕒 훈련된 반응 속도와 순간 판단력

스타트 소리에 0.1초 빠르게 반응하는 건 단순한 반사신경이 아닙니다.
수년간 훈련된 ‘감각-신경-근육 회로’의 결과이죠.
이러한 빠른 반응과 판단이 순간적인 힘을 끌어올릴 수 있게 합니다.


7. 🏋️‍♀️ 지상에서 기르는 수중 폭발력

순간 폭발력을 기르기 위해 수영 선수들은 다음과 같은 지상 훈련을 병행합니다:

  • 박스 점프, 메디신볼 던지기 (순간 근력)
  • 플라이오메트릭스 (신경계 반응 향상)
  • 저항 수영 훈련 (실전 대응 능력 향상)

실제로 육상, 체조 선수의 훈련법이 수영에 도입되며 많은 기록 향상이 이루어졌죠.


8. 🌡️ 젖산 관리 = 순간 폭발력 유지의 열쇠

폭발력을 쓰면 젖산이 근육에 쌓여 피로를 유발합니다.
하지만 수영 선수들은 이를 **능동적으로 해소하는 능력(젖산 역치)**을 훈련으로 끌어올립니다.
가벼운 유산소 수영, 스트레칭, 음식 섭취도 이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 정리하며: “팍!” 하고 나가는 힘, 훈련된 과학의 결과

순간 폭발력은 단순한 힘이 아닙니다.
근육, 뇌, 에너지 시스템, 자세, 수중 감각까지 모두가 맞물려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출력입니다.

수영에서 순간 힘이 강한 선수일수록 기술적 완성도와 생리학적 이해도가 높다는 증거죠.
여러분도 꾸준한 훈련과 이해를 통해 이 '순간의 힘'을 여러분 것으로 만들어보세요!